본문 바로가기

함께 사는 세상

친노패권주의, 그 모순과 함정

요즘 친노패권주의라는 말이 많이 들린다. 정치권의 뜨거운 이슈로서 언론사의 헤드라인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. 그 실체가 무엇인지 모호하지만 적어도 한가지 확실한 것은, 이 용어가 불공정하고 일방적인 규정이라는 것이다.


친노패권주의보다 더욱 경력하고, 그 열매가 보다 달콤해 보이는 것은 단연 친박패권주의다. 아니 진박패권주의로 업그레이드 됐는지도 모르겠다.
헌데 언론이나 정치권에서도 감히 이런 표현을 쓰지 못하고 있다. 친노와 진박 둘 중 누가 더 권력이 있고, 누가 더 가진 것이 많을까…  비교 자체가 어불성설이다.

얼마 전 남경필 경기지사는 보육대란 사태를 문재인 대표에게 따져 물었다. 왜 이 문제를 놓고 대통령이나 여당대표가 아닌 문재인 대표에게 따질까…
바로 이 장면이야말로, 감히 진박패권주의를 언급하지 못하고 친노패권주의만 운운하고 있는 정치권의 현주소를 대변하는 모습일 것이다.

 

헌데 관점을 달리해 보자, 애초에 친노패권주의라는 말 자체는 야당에서 나온 말이다. 이는 적어도, 야권에서는 자체 권력에 대해 스스로 비평이든 비난이든 견제를 하고 있다는 의미다. 적어도 여당처럼 청와대의 눈치를 보며 납짝 엎드려 있지는 않다는 말이다.

 

 

결국 친노패권주의를 말 속에서 우리는 만만한 분류만 까이는 냉혹함과, 그래도 그나마 자가견제가 남아 있는 조직을 엿볼 수 있으며 그 대척점에 선, 감히 비판하기 두려운 권력, 자체 견제가 불가능한 조직의 무력함을 비교해 볼 수 있을 것이다.
따지고 보면 세상은 대체로 공평하지도 정의롭지 않았기에 크게 억울할 일도 아닐 지 모르겠다.